전체 글278 [혼자 공부하는 자바] 3주차 객체: 물리적으로 존재하거나 추상적으로 생각할수 있는 것 중에서 자신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식별가능한것클래스: 자바의 설계도인스턴스 :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필드: 객체의 데이터가 저장되는곳생성자: 객체 생성시 초기화 역할 담당메소드: 객체의 동작에 해당하는 실행블록생성자: new 연산자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생성할 때 호출되어 객체의 초기화를 담당객체 초기화: 필드를 초기화 하거나 메소드를 호출해서 객체를 사용할 준비를 하는것필드 초기화 : ①필드를 선을할때 초기값을 주는 방식 , ②생성자에서 초기값을 주는 방법this.필드 this는 객체 자신의 참조, 객체가 객체 자신을 this라고 표현, this 참조 변수로 필드를 사용생성자 오버로딩: 매개 변수를 달리하는 생성자를 여러개 선언 2025. 1. 27. [CS]프로세스 컨텍스트 스위칭 vs 스레드 컨텍스트 스위칭 프로세스 컨텍스트 스위칭 1.메모리 처리가 필요함: -MMU 수정 필요 (새로운 프로세스의 메모리 주소 체계로 변경) -TLB 캐시를 비워야 함 (이전 프로세스의 주소 매핑 정보 제거) 2.더 많은 작업이 필요해서 시간이 오래 걸림 3.각 프로세스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짐 스레드 컨텍스트 스위칭 1.메모리 처리가 필요없음: -같은 프로세스 내의 스레드들은 메모리를 공유 -MMU 수정이나 TLB 캐시 비우기 같은 추가 작업 불필요 2.적은 작업으로 빠르게 처리 가능 3.같은 프로세스 내 스레드들은 메모리를 공유함 2025. 1. 22. [파이널프로젝트수정] 스프링부트의 계층적구조- [스프링부트완전정복 p.55-57] 계층적 구조: 애플리케이션의 연결관계가 긴밀한 부분끼리 묶어서 특정 기술이나 인터페이스로부터 분리, 각 계층을 느슨하게 결합하여 유연하게 동작할수 있게한다.스프링 부트의 계층적 구조: 퍼시스턴트 계층(DB랑 직접연관)/ 비즈니스계층(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포괄적인 서비스 표현)/ 프레젠테이션 계층 (뷰, 컨트롤러,모델)[송미영.2024.『스프링부트완전정복』.길벗캠퍼스, p.55] 2025. 1. 21. [파이널프로젝트수정하기] [1] 요구사항 분석 → [2] 데이터베이스 설계 [1] 요구사항 분석-게시판에 필요한 기능 정리1. 글쓰기 (관리자만) /수정 (관리자만) /삭제(관리자만)/조회(전부가능)2. 화면 흐름 ⓐ게시판 누르고 들어가면 →ⓑ카테고리별로 정렬되고ⓒ검색하면 → 업체명 나오고ⓓ카테고리로 들어가면 → 관리자일경우에는 글쓰기 / 수정/삭제 가능ⓕ댓글 게시판 - 구매한 사람의 경우에는 구매자 라고 따로 이름이 붙음 -대댓글 기능 가능ⓖ찜하기 기능( 좋아요 버튼 누르면 DB에 찜하기 카운트 되게) [2] 데이터베이스 설계테이블 구조 설계 (게시글, 댓글, 파일 첨부 등) SQL 스크립트 작성도메인 객체(Entity) 설계테이블과 매핑될 객체 생성 DTO 클래스 설계DAO(Repository) 계층 구현데이터베이스 접근 로직 구현 CRUD 기능 구현 2025. 1. 21. [리뷰][그림으로 이해하는 시스템 설계-시스템 설계, 쉽고 재미있게 시작하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글 입니다. 1) 도서명: 그림으로 이해하는 시스템설계 AI 가 주니어 자리 다 빼앗을거라고 "설계 못하는 개발자는 도태되는 세상이 되었다."라는 강의들을 많이 들어서설계 관련해서 책을 찾아보니 길벗에서 그림 시리즈로 나와있어서 반가웠다. 2) 내용 정처기에서 소프트웨어 설계를 배울때 나오는 폭포수 모델을 기준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다룬 책이다.ⓐ요구사항 정의 → ⓑ설계 →ⓒ개발 →ⓓ릴리스 로 크게 나눌때 책에서 표현하기를 a 끝 부터 b 설계를 다뤘다고 한다.시스템설계= 자신의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내부의 소프트웨어를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만든다." 는 말인데 쉽게 말해 게시판을 만들더라도, 설계도 없이 무작정 뛰어들면 "이.. 2025. 1. 21. [코딩자율학습단12기] 2주차-코딩자율학습 리눅스입문with우분투 1.사용자 -1) 일반 사용자 : 시스템에 로그인해 리눅스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사용자 - 2)시스템 사용자 : 리눅스 운영체제나 프로그램 등이 설치될 때 생성되는 사용자, 백그라운드 서비스나 데몬을 실행하는 등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 - 3)root 사용자 : 모든 파일에 읽기/쓰기/실행 권한 가짐. 시스템 주요 설정 변경, 패키지 관리, 전원 관리 등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모든 일을 담당.2. 파일 권한 -1) 읽기 : read, r - 2)쓰기 : write, w - 3) 실행 : execution, x3. 파일 권한 변경chmod + 권한파일 4. 프로세스 : 메모리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그램 -> 실행 코드 메모리 적재 -> CPU read -> .. 2025. 1. 19.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