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Adillete

전체 글348

[29차 개발자 리뷰어] 『객체지향 시스템 디자인 원칙』 '길벗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았음' 필자는 비전공 + 백엔드 부트 캠프를 다니고 있는 백엔드 취준생이다.객체 지향 관련된 서적을 꾸준히 읽으면서 객체 지향이 대체 무엇인지 알고 싶어서 객체지향 시스템 디자인의 원칙까지 흘러들어왔다. 객체 지향 시스템 디자인에서 정리하는 6가지 원칙은 이러하다.1. 작은 코드 단위2. 일관성 있는 객체3. 적절한 의존성 관리하기4. 좋은 추상화 만들기5. 잘 처리된 인프라6. 잘 모듈화된 디자인 미니 프로젝트를 설계하면서 객체화된 설계가 무엇인지 항상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갔던 부분이 이 책에 많이 설명 되어있다.가장 인상 깊었던건. 자바 프로젝트를 만들때 학원 선생님, 혹은 인강에서 설명하던 객체 지향 시스템을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를이 책에서 다루고 있다는 점이.. 2025. 9. 7.
[Javascript] || 연산 function fun2(){ let var1=true; let var2 = false; console.log('var2 || "김원삼": ',var2 || "김원삼"); // var2앞이 false가 되면 뒤에것이 값이 된다. -> 김원삼 나옴 } 2025. 9. 4.
[vue.js] import 하는 방식 import moduleA from "./moduleA.js"; //하나의 객체로 여러개를 묶어서 defaul로 보낸거 이것만 export 된거구나import moduleB_default,{moduleB_var1,moduleB_fun1} from "./moduleB.js"; //디폴트로 export 된거는 뒤에 from 안쓰고도 쓸수 있고//여러가지를 export 한거를 쓸때에는 {moduleB_var1,moduleB_fun1} 여기에 쓸수도 있다. 만약에import moduleA from "./moduleA.js";하나의 객체로 여러개를 묶어서 default로 보낸거해당하는 export//외부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내보내기export default { moduleA_var1, moduleA_fun1.. 2025. 9. 4.
[ORM] mybatis 시작하기 부터 구성요소 ORM 이용하기:sql문이 가져온 거를 자바 객체로 만들어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해주는 역할반대로 자바 객체를 받아서 sql 문으로 변환해서 db에 전달해주는 역할 namespace가 바뀐다.Mapper XML 에서 루트 엘리먼트의 namespace 에 인터페이스의 전체 이름을 기술한다전체 이름 패키지 + 인터페이스 이름테이블당 1개씩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id: 메서드 이름 parameterType: 파라미터 타입 resultType: 리턴되는 기대 타입의 패키지 경로를 포함한 전체 클래스명이나 별칭 keyProperty: 리턴된 키를 세팅할 프로퍼티를 지정 parameterType: 파라미터 타입 제일 쉽게 생겼는데 이해 하나도 못하는 타입 목적: sql에 넘길 파라미터 값의 타입을 .. 2025. 9. 1.
[RestAPI] update와 select를 구분하자 select: 조회(조건 하나 -> 결과는 여러개)```xml-- int 하나로 board 객체 전부를 반환```update (수정) (데이터 여러개-> 수정)```--Board 객체 전체를 받아서 수정작업만 수행```왜 update는 Board를 파라미터로 받지?수정할 제목, 수정할 내용, 조건으로 쓸 번호 등 여러 필드값이 필요하기 때문이다.update문에 resultType이 없는이유 :update문은 데이터를 반환하지 않는다.몇개 행이 수정되었는지만 알려준다. public int modify(Board board){ //반영된 행 개수를 받으려고 int rows = boardDao.update(board); return rows; } 1. 왜 bno만 부르면 안되지?bno를 조건.. 2025. 9. 1.
[서평] 클라우드 최소한의 기술이야기 '예스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도서를 제공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1. 목차1장. 클라우드란 무엇인가1.1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인가?1.2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1.3 IaaS, PaaS, SaaS의 이해1.4 비용 구조의 전환(CapEx에서 OpEx로)1.5 왜 지금 클라우드인가1.6 내결함성, 고가용성, 확장성, 탄력성2장. 가상화 기술 이해2.1 가상화란 무엇인가?2.2 하이퍼바이저의 종류2.3 가상 머신의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2.4 가상화의 장단점2.5 클라우드 인프라에서의 가상화 적용 방식2.6 데스크톱 가상화와 서버 가상화3장. 컨테이너의 개념과 활용3.1 컨테이너란 무엇인가?3.2 도커를 중심으로 본 컨테이너 생태계3.3 컨테이너와 가상머신3.4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3.5 서버리스.. 2025. 8. 31.